본문 바로가기

초등 임용 기록

각론 │미술 │서예 - 공예편

728x90
반응형

 

 

 

 

 


 

[ 서예 ] 

 

 

 

붓글씨를 쓰는 자세 

 

 ✅완법 ( 팔의 자세 )  : 현제 침맞을 자세

- 큰 글씨 - 팔이랑 겨드랑이 붙지 않아

- 중간 글씨 - 팔꿈치만 책상에 

- 작은 글씨 - 손을 받치고

 

 

✅집필법 ( 붓 쥐는 법 ) : 붓 잡고 싸

쌍구법단구법

 

용어 설명

운필법

용필법 

기필

행필(송필)

수필

전절

접필

중봉

편봉

배자

낙관

전각

집자
붓의 움직임

점과 획을 쓰는 붓의 용법 (기필 - 행필 - 수필 )

점획에서 붓을 대어 쓰기 시작하는 부분( 붓끝 감추면 장봉 ∝ 역입 / 노출시키면 노봉)

점획 중간 단계 / 붓이 옮겨가는 과정

점획 다 쓰고 지면에서 떼는 부분 / 무겁고 느리게

점획에서 방향이 바뀌는 부분  ( 휘 - / 꺽 - ) 동전 /절 문양 

점획을 서로 붙여 쓰는 것 / 서체에 따라 달라짐

붓끝이 한가운데 치우치지 않게 운필 ∝직필법

획의 가장자리에 붓끝이 move ∝측필법

서체와 이름의 크기, 여백 고려 (글자 어울리게 배치)

서화 마무리 짓기 위해 이름 스고 도장 찍기

도장을 파는 것 (좌우가 바뀜- 음/양각) ∝ 볼록판화

고전에서 글자를 가려 뽑은 것 ( 고전에서 글자 집어서 놓자)

 

 

서예 지도의 단계 : 서예 지도하는 당신, 용자 장(짱)

👉용필 지도 : 점획 모양 - 어떤 붓의 움직임으로 나타낼 수 있을지 익히기

👉 자형 지도 :  용필 바탕 자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글자 모양 이루는 것

👉 장법 지도 : 행간이나 자간, 서제와 낙관과의 어울림, 상하좌우의 가장자리 여백 등 like 구도

 

 

판본체와 궁체의 비교

판본체

점획 굵기 일정해!

글자의 모양 □ 

접필 (점과 획 또는 획끼리 붙여 쓰는 정도)
👉 깊게 접필!  자음 모음 안 만나!

전절(획의 꺾임) - ○ 빼고 모나게 꺾여

기필 : 장봉 │ 수필 : 회봉 
붓끝의 흔적을 남기지 않지.

글자 중심은 정중앙!
궁체

난 좀 다양해^^

자음이랑 모음 만나기도 해

기필 : 노봉

세로획은 굵기 가늘어지면서
뾰족하게 마무리!

내 중심은 가운데에서 오른쪽으로 약간 치우쳐져있음


 

판본체 (고체, 정음체)

목판이나 금속 활자 등으로 찍어 낸 책의 서체를 바탕으로 쓴 붓글씨체

훈민정음, 용입어천가, 월인천강지곡, 석보상절, 동국정운 

문자의 중심 가운데 두고 좌우 대칭

자음 = 위치와 모음에 따라 모양 달라짐 ㅇ 빼고

 

✅ 용필법 익히기 : 용-역 중

점, 획 쓸 때 지면에 대한 붓의 각도, 시작, 가운데, 끝 부분의 기법 

입 = START - 붓 끝 드러나지 않게 거슬러 대어 쓴다. ←→ ↑↓

봉 = ING - 붓 끝이 중앙을 지나가게 쓰는 것 / 붓을 수직으로 세워 쓰기 ∝직필법

         : 판본체, 궁체 모두 중봉 강조 - 획이 매끈해

봉 = END - 붓 끝 안보이게 붓을 되돌려 떼는 것 / 붓 끝 향해 밀면서 붓을 세워 뗌 / 다음 획 연속 운필 가능

 

✅판본체의 기본 획 익히기

곧은 획

역입 - 중봉 - 회봉
점은 가운데 위치/ 겹침
길이, 간격, 굵기 비슷
꺾은 획

방향 바뀌는 부분 직각 (전절)
역입 , 회봉
방향 바꿀때 -붓대 돌리지 마!
굽은 획

1번 OR 2번에 쓰기 
시작 끝 부분 겹치기
5-6 붓 세워 붓 면 바꾸기
비스듬한 획

두 획의 기울기 대칭 되도록
ㅅ,ㅈ
깊게 겹쳐 접필

이렇게 쓰기

    하 👉 ㅎ  : 가로 + 위의 점 접필 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ㅎ 랑 ㅏ 길이 비슷한 크기 쓰기 

   ㅢ 👉  ㅡ 랑 ㅣ 붙이기 X

 

 

궁체 ( 궁중 서체 )

조선 시대 궁중에서 쓰기 시작해 생긴 서체 

정자체는 단정하고 간결, 정적인 느낌

흘림체는 유연하고 동적, 율동 

옥원듕회연, 일동장유가, 낙성비룡, 남계연담

✅ 기본 획 익히기

가로 = 왼쪽보다 오른쪽 약간 올라가게 ↗ + 중간 약간 가늘게 변화
세로 = 45도 둥글게 대어 시작 > 점점 가늘게 > 왼쪽 모아 마무리
꺾는 획 = 꺾을 때 붓을 들어 올려 붓면의 방향 바꾸기
굽은 획 = 손가락으로 붓 돌리지 않고 팔 전체 움직여 쓰기

✅ 기본 점획 쓰기
ㅏ = 중간보다 약간 아랫부분에 접필
     =가볍게 시작 >오른쪽 아래로 방향 약간 내리며 둥글게 마무리 ↘
ㅓ = 힘 있게 눌러 시작>추어올리듯 가늘게 붓 떼기
     = 세로획 중간쯤 접필 
ㅗ = 비스듬 붓 대고 시작 > 곧바로 수직으로 짧게 내리긋기
     = 가로획 중간쯤 접필
ㅜ = 가로획 중간 보다 약간 오른쪽 접필 
     = 비스듬히 붓 대고 시작> 곧바로 수직 > 가늘게 마무리 

✅자음의 모양 변화 (궁체 비밀 보호)

자음은 쓰는 위치에 따라 모양이 달라진다. ㅁ,ㅂ,ㅇ,ㅎ 제외

함께 쓰는 모음 따라 각도 달라짐

 

 

캘리그라피

글씨를 아름답게 쓰는 기술 

일반적으로 서예의 범주에 해당

 

 

 

 


[    공 예      ]

 

공예란 ? 

실용적인 물건에 조형성 + 정신적인 의미를 더해 가치를 높이려는 예술의 한 장르

 

공예의 특성

1. 장인이 오랜 시간 만든다. 

2. 실용성과 아름다움의 양면을 조화시켜 만든 생활용품이다.

3. 작품마다 독창성과 개성이 있다.

4. 전통적 표현 기법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.

 

염색 공예 : 홀치기 염색 (=매듭염 )

물들일 천을 물감에 담기 전 일부러 홀치거나 묶어 묶은 부분은 염색이 되지 않도록 해 다양한 무늬를 만드는 방법

우연의 효과 > 기하학적 문양 

 

 

홀치기 염색 절차 

1. 천을 미리 빨아 물기를 짠 후, 젖은 상태에서 실을 감는다. 

2. 따뜻한 물에 염료와 소금을 넣어 염액을 만들고 천을 담가 충분히 스며들 때까지 주무른다.

3. 염액을 꼭 짜고 실을 풀은 뒤 흐르는 물에 헹군다. 

4. 직사광선을 피해서 그늘에서 말린 후 다림질을 한다. 

 

매염제

> 색이 쉽게 빠지지 않고 오래 지속

>염색이 잘 되도록 

>소금, 식초, 백반, 잿물, 아교 등

 

 

 

 

도자기 공예

 

 

특징

흙을 불에 구우면 단단해지는 성질 이용

도자기에서 한국적인 정서 느껴짐

 

종류 

1. 토기 ♨ ∝ 테라코타 │ 거친 흙의 감촉 남아있음 │ 선사시대 토기

2. 도기♨♨ + 유약│뚝배기, 질그릇

3. 자기 ♨♨♨ + 유약│백자, 청자

 

도자기 제작 과정

반죽하기 : 기포 빼기 + 점성 높이기

성형하기 : 가소성 > 여러 형태 변형 가능

그늘에서 건조하기 : 수축성│ 음지에서 천천히 건조

무늬 새기기 : 무늬는 초벌 전! or 그림 그리기

초벌구이 : 유약 바르기 전! 낮은 온도로 15-25시간 굽기 │유약으로 부서지지 않게하기 위해 

유약 바르기 : 누수방지 + 내구성 증진

재벌구이 : 1300도 + 20-30시간 +2-3일 식기 기다리기 

 

찰흙 성형 방법 

성형 : 점토를 원하는 모양의 용기나 조형 작품으로 만드는 것

1. 핀칭 성형 : 컵, 토우│주먹만 한 공 모양 > 양 손가락 누르며 모양 만들기 

2. 흙가래 성형 : 일정 굵기로 길게 민 찰흙 반죽 밑판 모양에 맞게 쌓아올려 만듬 │모양 자유자재로 만들기 가능

3. 점토 판 성형 : 판을 만들어 접합 │판은 밀대로 일정한 두께로 만들기 │판끼리 붙일 때 닿는 부분 긁기 + 흙물을 발라 붙여줌  

4. 물레 성형 : 물레의 원심력 이용 좌우 대칭 도자기 만들 때 주로 사용 

 

찰흙으로 도자기 만들 때의 주의할 점

1. 일정한 두께로 해야한다. > 수축률이 달라 깨진다.

2. 얇은 종이 위에 놓고 건조 > 바닥과의 마찰로 아랫부분 갈라질 수 있음

3. 찰흙 가래를 쌓아 올려 만든 그릇은 안과 밖 모두 다듬기 

 

도자기 이름 짓는 방법 

도자기 종류 +무늬 넣는 방법 + 무늬 이름 + 도자기 형태

청자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상감 ( 무늬를 새긴 뒤 그 속에 색 흙 매워 넣기 ) 

분청사기            청화 ( 푸른 안료로 그리기)

백자              철화 (철이 성분인 검붉은 색 안료로 그리기)

 

 

 

 출처 [ 문화재청 홈페이지 ] 도자기 형태 : 순서대로 병/ 매병/ 편병 / 장군

 

728x90
반응형